닫기

현재 읽고 계신 기사는
유료기사 입니다.

비회원도 읽을 수 있는 무료기사로 전환된 후, 소셜미디어에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닫기

[단독]삼성전자, 4대 은행에 마통 열었다

"비용절감" 원화 포괄약정 체결
2조 규모 '반도체 대출' 받기도

  • 심우일 기자·김우보 기자·공준호 기자
  • 2025-05-28 17:45:01
[단독]삼성전자, 4대 은행에 마통 열었다

미국 정부의 고율 관세정책과 글로벌 업황 부진에 위기 경영 체제를 가동 중인 삼성전자가 국내 주요 시중은행으로부터 10조 원 안팎의 차입 약정을 맺은 것으로 파악됐다. 시장에서는 삼성전자가 비용 절감 차원에서 시중은행과 크레디트라인(신용 한도)을 열게 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28일 서울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삼성전자는 최근 KB국민·우리은행·IBK기업은행 등 주요 은행과 약 10조 원 내외의 원화 포괄 약정을 다시 체결했다. 원화 포괄 약정은 일정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자금을 가져다 쓸 수 있는 일종의 ‘마이너스 통장’이다.


은행별로 각각 수조 원 안팎의 여신 한도를 책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출금리는 연 3~4%대인 것으로 파악됐다.


삼성전자는 또 약 2조 원 규모의 반도체 저리 자금 대출을 지난달 한국산업은행에 신청해 승인을 받았다. 지난해 처음으로 도입된 ‘반도체 설비투자 특별 지원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이다. 대출금리는 2% 초반이다. 지금까지 삼성전자는 해당 자금을 쓰지 않았다.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삼성전자는 지난해만 해도 정책자금을 쓰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주요 은행과 대규모 거래를 튼 것과 관련해 주력 사업인 반도체와 가전의 시장 불안이 확대되면서 자금 조달 창구를 다양화한 것 아니냐고 보고 있다. 은행권에서는 삼성전자가 매출 채권을 이용해 자금을 조달하는 것보다 조건이 유리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삼성전자 입장에서는 경영 불확실성이 커지다 보니 다양한 측면에서 재무 전략을 고민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자금 조달 비용을 낮추기 위해 원화 포괄 약정과 같은 수단을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