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현재 읽고 계신 기사는
유료기사 입니다.

비회원도 읽을 수 있는 무료기사로 전환된 후, 소셜미디어에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닫기

스타트업코리아펀드 올해도 6000억대 조성…AI·바이오 등 집중투자

민관합동 플랫폼으로 역할 확대
'오픈 이노베이션' 분야도 신설

  • 류석 기자
  • 2025-04-24 11:43:21
스타트업코리아펀드 올해도 6000억대 조성…AI·바이오 등 집중투자
중소벤처기업부가 24일 서울 마포구 '호텔 나루 서울 엠갤러리'에서 개최한 2025년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 출범식에서 출자자들이 펀드 출자 배경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류석 기자

인공지능(AI)과 바이오, 로봇 등 딥테크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가 올해 6000억 원 규모로 조성된다.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는 대기업, 중소·중견기업, 금융권과 정부가 함께 국내 유망 산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조성하는 펀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4일 서울 마포구 '호텔 나루 서울 엠갤러리'에서 2025년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 출범식을 개최했다. 출범식에는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에 참여하는 출자기관과 민간 기업, 벤처캐피털(VC) 주요 경영진 다수가 참석했다.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 출범 첫해인 2024년에는 19개 민간 출자자가 3260억 원, 정부 모태펀드가 2295억 원을 출자해 총 8733억 원 규모 벤처펀드를 조성했다. 이 펀드는 결성된지 수개월 만에 딥테크 기업 등 20개사에 총 275억 원을 투자했다.


올해는 30개 민간 출자자가 2500억 원, 정부 모태펀드가 1700억 원 이상을 출자해 6000억 원 규모 벤처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지난해 결성된 규모 8733억 원을 합산 시 2년간 총 1조 5000억 원 규모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가 조성되는 것이다.


이 펀드 출자사업은 모태펀드 운용기관인 한국벤처투자가 담당한다. 오는 5월 출자사업 공고를 내고, 9월 중 펀드 운용사를 선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연내 펀드 조성을 완료 후 투자를 개시하는 것이 목표다.


올해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는 '민·관 합동 벤처투자 플랫폼'으로 역할이 확대된 것이 특징이다. 기존 벤처펀드 출자 경험이 없는 신규 출자자가 전년 대비 늘어났다는 점에서다. 실제로 코스맥스(192820), 스푼랩스, 도쿄세경센터, 성균관대학교기술지주회사 등 10곳이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를 통해 처음으로 벤처투자에 나섰다.


또 출자 분야 중 '오픈이노베이션'이 신설됐다. 오픈이노베이션 펀드는 벤처투자를 통한 대기업, 중소·중견기업과 벤처·스타트업 간의 전략적 협업을 촉진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전 세계 여러 국가가 글로벌 딥테크 패권을 차지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면서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가 혁신 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우리나라 스타트업들의 성장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