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월 신용평가사의 홈플러스 신용등급 하락 통보 이후 열린 재심에서 MBK파트너스가 1000억 원 한도의 신용 공여를 직접 제공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파악됐다. MBK는 이 같은 사실을 홈플러스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을 인지하지 못한 정황 증거로 검찰에 제시할 전망이다.
2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홈플러스 경영진과 MBK의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를 살펴본 금융당국은 사건을 검찰에 통보했다. 이번 수사에서 쟁점은 2월 25일 1차 신용등급 통보 이전 홈플러스와 MBK가 등급 강등 가능성을 사전 인지했는지 여부가 될 것으로 보인다.
홈플러스는 2월 25일 오후 4시께 한국기업평가로부터 단기 신용등급이 'A3'에서 'A3-'로 하락하게 될 것이란 정기평정 결과를 전달받았다. 한기평은 홈플러스에 재심 신청 의사 여부를 파악하며 관련 절차를 안내했고, 홈플러스는 26일 오전 곧바로 재심을 요청했다.
당시 재심에서 홈플러스는 기 발행해 둔 상환전환우선주(RCPS)의 상환 조건을 변경하겠다고 한기평 측에 밝혔다. 원래 홈플러스 RCPS의 상환권은 MBK가 만든 특수목적법인(SPC) 한국리테일투자와 홈플러스가 모두 갖고 있었다. 하지만 등급 하락이 예고되면서 MBK는 한국리테일투자와 홈플러스 간 RCPS 조건 변경합의서를 체결하게 하고 홈플러스만 상환을 요구할 수 있도록 변경했다.
이를 통해 1조1000억 원에 달하는 RCPS가 부채가 아닌 자본으로 인식되게 했다. 홈플러스의 부채비율을 낮춰 등급 하락을 방어하겠다는 논리였다. 이후 홈플러스는 27일 주주총회를 통해 우선주 상환 조건을 변경하기 위한 정관개정도 의결했다.
아울러 MBK는 직접 1000억 원 규모로 홈플러스에 신용 공여를 제공하겠다고 제시했다. MBK가 홈플러스에 일종의 '마이너스 통장'을 개설해주고, 홈플러스가 한도 내에서 자금을 요청하면 MBK가 자체 신용 등을 통해 조달해주겠다는 것이다. 신용평가사는 기업 신용도에 유사시 그룹 내 타 계열사의 지원 가능성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MBK 관계자는 이와 관련 “신용등급 하락을 미리 인지하지 못했다는 것 뿐만 아니라, 회생절차도 미리 준비하지 않았다는 중요한 증거 중 하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시 1000억 원 규모의 신용 공여를 제공할 정도로 등급을 유지하고 회사를 꾸려나가고 싶은 의지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홈플러스와 MBK 관계자들을 증권선물위원장 긴급조치(패스트트랙)로 검찰에 통보했다. 홈플러스가 2월 25일 오후 4시께 신용등급 하락 평정 결과를 통보 받았다고 밝힌 만큼, 해당일 전까지 홈플러스 경영진과 MBK 관계자들이 등급 하락 가능성을 인지했는지 여부가 수사 과정에서 쟁점이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