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가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공동 목표로 설정한 가운데, 제조업 강국인 한국과 중국은 산업 전환과 공급망 재편이라는 유사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한국은 GDP의 약 26.5%를 차지하는 첨단 제조업 중심 구조에서 반도체, 이차전지, 미래차 등 고부가가치 산업을 기반으로 AI 에너지관리,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수소환원제철 등 저탄소 기술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산업 구조적 차이는 정책 접근 방식으로도 이어진다. 한국은 '탄소중립기본법' 제정과 K-ETS, 세액공제,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대응 컨설팅 등을 통해 민간의 자율적 이행을 유도하며, 기술개발-표준화-상용화를 연계하는 로드맵을 구축하고 있다.
-주목할 점은 기업 차원의 인식과 대응력 격차다. 한국은 수출 대기업을 중심으로 기후위기 인식이 높으나, 중소기업의 대응 계획 수립률은 16.2%에 그친다. 자금·정보 부족, 전문인력 부족이 주요 제약 요인으로 작용한다.
1KDB경제연구소 | 11,030 |
2기타 | 6,834 |
3한국무역협회 | 6,291 |
4한국바이오협회 | 6,037 |
5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 2,199 |
6건설산업연구원 | 1,906 |
7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 1,895 |
8에너지경제연구원 | 1,888 |
9현대경제연구원 | 1,020 |
10하나금융연구소 | 838 |
1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 34 |
2한국바이오협회 | 17 |
3한국무역협회 | 15 |
4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 9 |
5기타 | 7 |
6KDB경제연구소 | 6 |
7에너지경제연구원 | 5 |
8건설산업연구원 | 4 |
9조세연구원 | 3 |
9하나금융연구소 | 3 |
1기타 | 46 |
2한국바이오협회 | 39 |
3한국무역협회 | 35 |
4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 11 |
5건설산업연구원 | 9 |
6에너지경제연구원 | 8 |
7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 7 |
7하나금융연구소 | 7 |
9KDB경제연구소 | 6 |
10우리금융경영연구소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