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현재 읽고 계신 기사는
유료기사 입니다.

비회원도 읽을 수 있는 무료기사로 전환된 후, 소셜미디어에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닫기

"중장기 가치 상승" 내세우지만…SK스퀘어 때도 먹튀

■英행동주의펀드 팰리서캐피털, LG화학 공습
과거 삼성물산·SK스퀘어도 겨냥
지배구조·자본배분 등 개편 요구
"건설적 관계" 강조한뒤 지분매각
주주권 앞세워 단기 수익에 집중
주가는 13%↑…장중 52주 신고가

  • 김병준 기자·임세원 기자
  • 2025-10-22 17:39:08
'중장기 가치 상승' 내세우지만…SK스퀘어 때도 먹튀[시그널]
팰리서캐피탈 로고

팰리서캐피털이 LG화학(051910) 주주 제안을 전개한 배경으로 심각한 저평가를 꼽았다. LG(003550)화학은 LG에너지솔루션(373220) 지분 81.84%(상반기 말 기준)를 보유하고 있는데도 이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고 단순 석유화학 기업으로만 평가된다고 지적했다. 다만 주주 제안을 위해 1% 남짓 지분을 갖고 있는 팰리서캐피털이 과거 삼성물산(028260)SK스퀘어(402340)에 대해 행동주의에 나선 뒤 차익 실현을 하고 떠난 사례에 비춰 ‘먹튀’ 가능성도 다분하다는 해석이 나온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LG화학 주가는 13.01% 상승한 39만 1000원으로 장중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행동주의 펀드의 주주 제안에 따라 중장기적으로 LG화학의 기업가치 상승이 이뤄질 수 있다고 투자심리가 개선된 영향이다.


팰리서캐피털의 설립자인 제임스 스미스 최고투자책임자(CIO)는 “팰리서캐피털은 회사 및 최고경영진과의 건설적인 관계를 소중히 여기며 LG화학이 완전한 잠재력을 실현하는 것을 추구하는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열린 대화를 지속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팰리서캐피털은 LG화학의 시가총액을 76조 원 수준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날 기준 27조 원과 비교하면 저평가가 해소될 경우 세 배 가까이 주가가 상승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장기 가치 상승' 내세우지만…SK스퀘어 때도 먹튀[시그널]

다만 실제로 행동주의가 기업과 건설적인 대화를 통한 기업가치 상승으로 이어질지에는 물음표가 뒤따른다. 팰리서캐피털은 지난해 SK스퀘어의 지분을 1% 넘게 확보하면서 체계적인 자본 배분 원칙과 주주 이익과 연계된 경영진 보상 시스템 도입 등을 제안했다. 이후 SK스퀘어의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던 팰리서캐피털은 지난해 11월 “SK스퀘어와 건설적인 관계를 유지해갈 것을 기대한다”는 성명을 발표했지만 불과 한 달여 만에 지분을 매각한 뒤 주주 제안을 철회했다.


2023년에는 삼성물산을 상대로 자사주 소각, 지주회사 체제 재편 등을 요구하는 서한을 보내 흔들기도 했다. 당시 삼성그룹의 실질적인 지주회사 역할을 하고 있지만 지배구조 문제로 주가가 제대로 된 가치를 인정받고 있지 못하다고 주장했는데, 정작 주주총회에서의 표 대결은 참여하지 않았고 조용히 사라졌다.


최근 5년간 LG그룹을 겨냥했던 행동주의 펀드는 크게 화이트박스와 실체스터 2곳이다. 이들은 단기간 적극적으로 주주권을 행사한 뒤 매도하면서 수익 극대화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미국계 행동주의 헤지펀드인 화이트박스는 2018~2020년까지 LG 지분을 약 1% 보유했다. 이들은 2020년 12월 현재의 LX그룹과 계열 분리에 반대하며 이사회에 “LG그룹이 가족의 경영 승계를 위해 주주가치에 부정적인 의사 결정을 단행했다”는 내용의 서한을 보냈다. 그러나 계열 분리안은 이사회를 통과했고 2021년 상반기에 보유한 주식 대부분을 매도했다. 취득 시점 대비 이들의 수익률은 최소 30% 이상으로 추산된다.


반면 영국계 투자회사 실체스터는 2023년 4월 LG 지분 5.02%를 매입한 후 10월 현재 7.03%로 보유 지분을 늘린 2대 주주다. 이들은 LG생활건강(051900) 지분 6.11%를 보유한 3대 주주이기도 하다. 실체스터는 투자목적을 일반투자로 밝히면서 경영과 관련해 개입하지 않는 대신 적극적인 주주 환원을 요구했다. 2023년 이후 현재까지 실체스터의 수익률은 45% 이상으로 추정된다. 실체스터는 과거 한국전력을 상대로 전기요금 인상을 촉구했고, 일본 지방은행에 투자해 6년 간 지켜본 후 최고경영자 해임을 요구했다. 투자은행(IB) 업계의 한 관계자는 “해외 행동주의 펀드가 전면에 내세우는 것은 기업의 중장기적인 가치 상승이지만 결국 핵심은 단기적인 이익에 있을 수 있다”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