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중 무역갈등이 재점화하고 한미 관세협상 관련 우려도 지속되는 가운데 국내 증시의 변동성이 4년여만에 최고 수준으로 커졌다. 사상 첫 3700선을 돌파하고 3800선 턱밑까지 추격하는 상황 속 국내외 변수에 대한 민감성도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0일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 등에 따르면 10월 1일부터 17일까지 일평균 일중 변동률은 1.81%로 집계됐다. 월별 기준 2021년 2월(2.03%) 이후 4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다.
일중 변동률은 당일 지수의 ‘고가와 저가의 차이’를 ‘고가와 저가의 평균값’으로 나눈 비율이다. 해당일 고가와 저가의 평균값에 비해 지수 변동폭이 얼마나 컸는지를 보여주는 수치다. 지수의 장중 등락 범위가 넓을수록 높은 값이 나온다.
일별 기준으로는 지난달 말까지만 해도 대체로 1.00% 미만에 머무는 날이 많았다. 그러나 10월 2일 1.52%로 껑충 뛰어오른 것을 시작으로 점차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달 14일에는 일중 최고가와 최저가 간 격차가 111.25포인트에 이르렀다. 이날 일중 변동률은 3.10%로 지난해 8월 7일(3.29%) 이후 최고치를 찍었다. 이후에도 2% 안팎의 일중 변동률을 유지하고 있다.
한국형 공포지수로 불리는 ‘코스피200 변동성지수(VKOSPI)’도 가파르게 올라서고 있다. VKOSPI는 옵션 가격에 반영된 향후 시장의 기대 변동성을 측정하는 지수다. 보통 코스피가 급락할 때 오르는 특성이 있다. 하지만 상승장에서 투자자들이 갖는 불안심리와 주식시장의 불확실성이 클 때도 상승하곤 한다. 시장에서는 향후 코스피 방향에 대한 시장 참여자들의 전망이 상승과 하락으로 엇갈리고 있다는 이야기가 흘러나온다.
17일 기준 VKOSPI는 전일 대비 15.69% 급등한 34.58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달 말(20.62) 대비로는 무려 67.7% 오른 수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가 전 세계 증시를 뒤흔들었던 지난 4월 8일(37.83)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국내 증시 변동성이 크게 나타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를 계기로 촉발된 미중 무역갈등도 당분간 시장에 불안 요인으로 남아 있을 가능성이 높다. 단기간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압력도 커진 상황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의 3500억 달러(약 500조 원) 대미투자 선불 요구 등으로 한미 관세, 무역합의 후속 논의가 난항을 겪는 상황도 증시에 불안감을 가중시킬 요인으로 평가 받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