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현재 읽고 계신 기사는
유료기사 입니다.

비회원도 읽을 수 있는 무료기사로 전환된 후, 소셜미디어에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닫기

CBRE코리아 "상반기 상업용 부동산 투자 규모 약 15조 원"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전 분기와 비슷"
오피스 투자가 6조 원 수준…리테일 회복세
"하반기에는 자산유형·투자자 성향 따라 편차"

  • 천민아 기자
  • 2025-07-28 10:11:07

오피스, 부동산투자, 2분기상업용부동산투자규모

CBRE코리아 '상반기 상업용 부동산 투자 규모 약 15조 원'[시그널]
올해 2분기 상업용 부동산 주요 매매 사례. 사진=CBRE코리아

올해 2분기 상업용 부동산 투자 규모가 전년 동기 대비 약 53% 증가한 7조 1143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글로벌 최대 종합 부동산 서비스 기업 CBRE 코리아가 22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국내 상업용 부동산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해당 분기는 전 분기에 이어 2분기 연속 7조 원대를 기록했다. 상반기 누적 투자금액은 약 15조 원에 이르며 작년 연간 투자 규모의 70% 수준이다.


투자 확대의 중심에는 오피스 섹터가 있었다. 2분기 전체 투자 중 85%에 달하는 약 6조 117억 원이 오피스 자산에 집중되며 시장을 견인했다. 이 가운데 1000억 원을 초과하는 거래가 11건, 약 5조 5000억 원 규모로 도심 및 강남권역에서 이뤄졌다.


주요 거래로는 SI타워와 KDB생명타워, 크레센도, BNK디지털타워 등이 있다. 사옥을 매입한 CJ그룹, 현대자동차, 빗썸 등 전략적 투자자(SI) 활약도 두드러졌다.


서울 A급 오피스 시장의 평균 공실률은 2.7%로 전 분기와 동일한 수준을 기록했다. 강남권역(GBD, 1.7%)과 여의도권역(YBD, 2.8%)은 각각 0.4%p, 0.2%p 하락하며 안정세를 이어갔다.


반면 도심권역(CBD)에서는 프라임 자산이 타 자산 공실 상승을 일부 상쇄했다. 실질 임대료는 전 분기 대비 2.1%p 상승한 ㎡당 3만7248원, 명목 임대료는 2.3%p 오른 ㎡당 3만9599원을 기록하며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갔다.


강남권역에서는 금융 및 IT 기업들의 이전 수요가 활발하게 나타나며 주요 프라임 오피스의 공실이 빠르게 해소됐고, 마곡권역은 DL그룹을 비롯한 항공·금융업계 수요 유입이 이어지며 신흥 업무지구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리테일 시장은 소비심리지수 회복과 외국인 관광객 수요 증가에 힘입어 회복세를 이어갔다. 6월 소비자심리지수는 109로 202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상반기 외국인 방한객 수는 720만 명에 달해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했다.


이에 따라 올리브영과 알로, 룰루레몬 등 주요 브랜드들이 강남이나 도산대로, 성수 등 핵심 상권에서 매장 확장에 나섰다. 그 밖에 명동, 홍대, 한남동 등지에서도 공실률 하락과 임대료 상승 등 전반적인 상권 회복세가 관찰됐다.


특히 90% 이상 임대차 계약이 완료된 마곡 원그로브 등 대형 오피스 아케이드 내 리테일 수요도 빠르게 안정화되고 있다.


이번 분기 물류 자산 거래 규모는 2967억 원으로, 전 분기 대비 84% 감소하며 일시적인 조정을 보였다.


CBRE 측은 "1분기에 선매입 및 부실자산 중심 거래가 집중되며 나타난 기저효과"라며 "하반기에는 외국계 투자자 주도의 거래 규모 반등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공급 측면에서는 수도권 A급 물류센터 신규 공급이 16만8614㎡에 그치며 2019년 이후 분기 최저치를 기록했고, 상반기 기준 공실률은 20.4%로 전년 말 대비 2.5%p 하락했다.


상온 물류센터는 무신사와 롯데글로벌로지스 등의 임차활동이 이어졌고, 저온 물류센터는 이천·양주 등지에서 수요가 일부 회복되며 점진적인 안정세를 보였다.


호텔 시장은 외국인 관광 수요 회복과 공급 제한, 개발 비용 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견고한 투자 수요가 지속 관찰되고 있다.


골드만삭스가 머큐어 앰배서더 홍대 호텔을 2620억 원에 인수하며 국내 첫 호텔 투자에 나섰고, 신한 서부티엔디리츠도 신라스테이 마포를 1430억 원에 매입하는 등 거래가 이어졌다. 회복된 관광 수요와 맞물려 신규 공급이 제한된 상황이 이어지면서, 호텔 자산에 대한 투자 수요는 당분간 견조한 흐름을 이어갈 전망이다.


최수혜 CBRE 코리아 리서치 총괄 상무는 “2분기 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전략적 투자자의 실수요와 외국계 자본의 선별적 접근이 동시에 나타나며 회복 흐름을 다진 시기였다”며 “하반기에는 통화정책의 완화 기조에 따른 금리 안정이 예상되지만 당분간 자산 유형과 투자자 성향에 따라 수익률 편차가 크게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