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정기 주주총회에서 안건으로 상정된 주주 제안이 지난해보다 2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체 제안 중 77%가 개인투자자들의 제안일 정도로 주주 행동 참여가 급증하면서 소액주주들의 목소리가 점점 커지는 양상이다.
15일 NH투자증권이 발표한 기업 지배구조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정기 주총에서 지배구조 공시 기업 중 13개 상장사에서 총 35건의 주주 제안이 안건으로 상정됐다. 지난해 같은 기준으로 8개사·17건이던 것과 비교하면 2배 이상 증가한 규모다. 특히 개인 주주가 낸 제안이 27건으로 전체의 77.1%를 차지했고 기관투자가가 낸 안건은 8건(22.9%)에 그쳤다. 상법에 따르면 상장기업의 경우 의결권이 없는 주식을 제외한 발행주식 총수의 1% 이상 보유한 주주는 주주 제안을 행사할 수 있다.
주주 제안 안건의 내용으로는 정관 변경이 15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사회 관련 8건, 주주 환원 관련 6건, 기타 안건 6건 등으로 뒤를 이었다. 다만 실제 가결된 사례는 전체 35건 가운데 4건(11.4%)에 불과했다. 이마트에서는 개인 주주가 ‘기업가치 제고 계획 이행 현황을 분기별로 공시하라’고 제안했지만 부결됐고 DB하이텍에서도 개인 주주가 ‘집중투표제 도입’과 ‘권고적 주주 제안 신설’을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세방 역시 개인 주주가 ‘보통주 1주당 800원 배당금 지급’을 제안했으나 부결됐다.
기관투자가들의 공개서한 활동 역시 크게 증가했다. 올해 기관이 발송한 공개서한 건수는 55건으로 지난해(16건) 대비 3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이 중 38건(69%)은 기업들이 수용해 주주 제안보다 훨씬 높은 실효성을 보였다.
앞으로 주주들의 이 같은 경영 참여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이소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4일 ‘권고적 주주 제안권 도입’을 핵심으로 하는 상법 개정안을 발의하는 등 여권을 중심으로 관련 제도 손질에 나서고 있다. 이승영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배당 제도 개선이나 주총 4주 전 소집 공고 등을 중심으로 기업들의 지배구조 핵심 지표 준수율이 눈에 띄게 개선되고 있다”며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기관이 늘면서 앞으로 기관투자가들의 반대 의결권 행사나 주주 제안 등도 한층 활발해질 것으로 예측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