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현재 읽고 계신 기사는
유료기사 입니다.

비회원도 읽을 수 있는 무료기사로 전환된 후, 소셜미디어에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닫기

비트코인 가격 급락 배경에는 '채굴자'가 있었다

한주간 채굴 물량 거래소로 송금 후 현금화 가능성 커
장외 거래 추정 움직임도 포착

  • 노윤주 기자 daisyroh@
  • 2020-09-04 10:19:12

크립토퀀트, 비트코인, BTC, 채굴자

비트코인 가격 급락 배경에는 '채굴자'가 있었다
9월 4일 오전 10시 8분 크립토퀀트 KBPI 차트/ 출처=크립토퀀트

비트코인(BTC) 가격이 급락하고 있다. 가격 하락 원인으로는 채굴자들의 현금화가 꼽히고 있다.


4일 오전 10시 8분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전일 대비 9.59% 하락한 1만 326달러(약 1,228만 원)에 거래되고 있다. 2일 오전에는 1만 2,000달러를 기록했지만 3일 저녁부터 시작된 하락세에 1만 달러를 겨우 방어하고 있다.


국내 시장 상황도 다르지 않다. 크립토퀀트의 KBPI 기준 지난 1일 밤 9시 최고 1,400만 원을 기록한 BTC는 계속해서 우하향 곡선을 그리며 3일 오전 7시 1,355만 원까지 밀려났다. 이후 한차례 더 큰 하락을 만나 3일 밤 11시 1,229만 원으로 후퇴했다. 4일 오전 10시 8분 빗썸에서는 전일 대비 3.92% 하락한 1,243만 9,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들은 채굴자들이 보유 중이던 BTC를 대량 현금화 하면서 가격 하락을 이끌었다고 분석했다. 크립토퀀트에 따르면 3일 오후 1시 경 채굴자들은 60억 원 상당의 448BTC와 75억 원 상당의 561BTC를 각각 거래소와 외부 지갑으로 출금했다.


크립토퀀트는 "2~3일 양일간 채굴자들이 이례적으로 많은 돈을 옮기고 있다"며 "일주일간 채굴한 물량의 BTC를 채굴 지갑 밖으로 빼고, 일부는 거래소로 송금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채굴자들에 의해 시장이 한 번 더 하락할 가능성이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고 전망했다.


이상 움직임이 포착된 채굴풀은 △풀린(Poolin) △슬러시(Slush) △F2풀(F2Pool) △하오BTC(HaoBTC) 등이다. F2풀과 풀린은 해시레이트 순위 1, 3위를 차지하고 있는 대형 채굴풀이고, 슬러시도 해시레이트 순위 12위를 기록 중이다.




/노윤주 기자 daisyroh@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