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현재 읽고 계신 기사는
유료기사 입니다.

비회원도 읽을 수 있는 무료기사로 전환된 후, 소셜미디어에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닫기

행안부, 블록체인 통관 시스템 등 3개 과제 선정

①블록체인 IT 신기술 기반 전자상거래 수출통관시스템
②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상담시스템
③첨단 사물인터넷(IoT)기반 범죄피해자 접근 보호 시스템
6월 사업자 선정, 12월까지 시스템 구축 및 오픈

  • 원재연 기자
  • 2019-02-20 16:59:34
행안부, 블록체인 통관 시스템 등 3개 과제 선정

행정안전부가 블록체인,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활용한 ‘2019년 첨단 정보기술 활용 공공서비스 촉진사업’의 추진 과제를 선정했다고 20일 밝혔다.

행안부는 지난해 수요조사와 아이디어 발굴을 통해 50개 사업을 발굴, 민관학 전문가로 구성된 사업검토위원회 및 행정안전부 사업선정위원회 검토를 통해 최종 3개 과제를 확정했다.

올해 추진할 사업은 △블록체인 IT 신기술 기반 전자상거래 수출통관시스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상담시스템 △첨단 사물인터넷(IoT)기반 범죄피해자 접근 보호 시스템 개발 등이 채택됐다.

행안부, 블록체인 통관 시스템 등 3개 과제 선정
블록체인 기반 수출신고 자동처리 / 자료 = 행정안전부

전자상거래 수출전용 통관시스템 구축에는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다. 상품, 판매, 배송 정보 등을 자동화한 수출 신고 시스템을 구축해 통관시간과 물류비용을 절감한다.

민원상담서비스에는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술을 접목, 24시간 365일 상담가능한 지능형 상담시스템을 구현한다. 기존의 챗봇은 고령층 등 정보화 취약 계층이 이용하는데 불편이 있었다. 여권, 차량등록 등 4개 분야 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돼 왔다. 이번 과제는 민원 전분야로 확대해 음성 상담과 신고기능을 추가하고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없앴다.

행안부, 블록체인 통관 시스템 등 3개 과제 선정
사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한 범죄 피해자 보호 장치 / 자료 = 행정안전부

사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한 범죄 피해자 보호 장치도 마련된다. 현재는 피해자의 사전등록 주소로부터 가해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식으로, 사전등록지를 벗어날 경우 거리 추적이 불가능하다. 행안부는 가해자의 접근 정보를 실시간 제공하는 범죄피해자 접근보호시스템 구축을 통해 2차 범죄피해를 예방하고 사회안전망을 구축키로 했다.

행안부는 한국지역정보개발원과 3월중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확정한다. 관세청 등 주관기관들은 6월까지 사업자를 선정한 후 올해 12월까지 시스템을 구축, 서비스를 오픈한다.

최장혁 행정안전부 전자정부국장은 “블록체인·인공지능 등 첨단정보기술을 공공서비스와 접목하여 대국민 서비스를 혁신적으로 이끌어 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원재연 기자 wonjaeyeon@decenter.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