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현재 읽고 계신 기사는
유료기사 입니다.

비회원도 읽을 수 있는 무료기사로 전환된 후, 소셜미디어에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닫기

"가격 높여달라"…시작부터 고삐죄는 이지스 매각

매각측, 주관사 통해 이례적 제안
인수 상대로 일부후보 염두에 둔 듯

  • 임세원 기자
  • 2025-08-24 11:16:25
'가격 높여달라'…시작부터 고삐죄는 이지스 매각 [시그널]

부동산자산운용업계 1위인 이지스자산운용 경영권 매각에서 매도자가 초반부터 적극적으로 가격을 높이는 시도에 나섰다. 매도측은 지분 100% 기준 최소 8000억 원 이상을 기대하고 있으나 예비입찰 단계에서 이 같은 가격을 제시한 후보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최대주주와 함께 매각에 참여하려는 소수주주들이 가격이 낮으면 응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매각주관사가 이례적으로 고삐를 세게 쥐고 있다고 풀이했다.


2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이지스자산운용 최대주주인 손화자 씨와 소수주주들은 매각주관사 모건스탠리와 골드만삭스를 통해 예비입찰에 참여한 일부 후보에게 가격을 올려 다시 제안해 줄 것으로 요청했다. 이달 13일 열린 예비입찰에는 한화생명, 대신파이낸셜그룹, 흥국생명, 싱가포르계 운용사인 캐피탈랜드 등이 참여했다. 매각 대상 지분은 66.6%다.


매도 측이 입찰 참여 후보에게 가격을 올리는 방식은 프로그래시브 딜로 불리며 지분 거래 과정에서 종종 나타난다. 다만 본입찰 이후나 최종 우선협상대상자 등 인수자를 선정하기 직전에 독려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매도측이나 인수측 모두 상당한 비용을 들인 상황이라 서로 거래를 성사시키려는 의욕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반면 예비입찰 단계에서는 입찰자가 낸 가격에 구속력이 없기 때문에 매도측도 상대적으로 무게를 싣지 않는다. 매도 측은 일부 후보에게만 가격 인상을 요청했기 때문에 초반부터 염두에 둔 후보가 있는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외국계 운용사에 매각 하는 것은 다소 부정적인 분위기”라며 “기존 주주로 협력관계를 이어온 대신그룹이나 자산규모가 큰 한화생명이 유력하게 떠오르고 있다”고 전했다.


이지스자산운용의 주주구조가 크게 두 갈래로 분산된 점도 가격에 민감할 수 밖에 없는 이유다. 주주 가운데 현대차증권·마스턴투자운용·KB증권 등은 연말까지 인수 후보의 제안을 들어본 후 참여를 결정짓겠다는 입장이다. 반면 조갑주 이지스자산운용 전 신사업추진단장 측(11.89%)은 이번 매각에 참여하지 않고, 새로운 대주주와 협의해 단계적인 매각 여부를 결정짓겠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주주 가운데 우미글로벌(9.08%), 금성백조(8.59%)는 조 전 단장 측에 우호적인 입장이어서 가격 등 조건이 크게 유리하지 않으면 매각에 응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