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현재 읽고 계신 기사는
유료기사 입니다.

비회원도 읽을 수 있는 무료기사로 전환된 후, 소셜미디어에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닫기

[단독] 국민연금 운용역 보수, 상위 25%로 끌어 올린다

업계 대비 보상 수준 100명 중 50등
CPPIB·GIC 수준으로 상위 25% 올려
절대성과 반영…누적 평가기간 3년→5년
"국민 노후 보장 위해 채용 경쟁 강화"

  • 천민아 기자
  • 2025-07-31 11:05:20

국민연금, 국민연금성과급

[단독] 국민연금 운용역 보수, 상위 25%로 끌어 올린다[시그널]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이미지. 사진=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홈페이지

정부가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의 인재 이탈을 막기 위해 성과급 체계 선진화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내년부터 평가 시 절대 성과를 반영하고 누적 평가 기간도 3년에서 5년으로 늘릴 계획이다. 바뀐 제도가 시행되면 업계 상위 50% 수준인 현재 총보수 수준이 상위 25%까지 올라 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3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올해 기금운용본부 직원 1인당 평균 성과급 지급액은 3461만 원 수준으로 파악됐다. 5년 이상 장기 근무자는 4837만 원, 5년 미만 단기 근무자는 2350만 원 수준이다.


지난해 연 수익률 15%라는 ‘역대급’ 수익률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지급액은 오히려 전년 대비 500만 원 넘게 줄었다. 2023년 1인당 평균 지급액은 4041만 원으로 14.3% 감소한 것이다. 장기근무자는 5872만 원에서 17.6% 줄었고, 단기근무자도 2465만 원에서 4.6%가량 삭감됐다. 2023년 기금 운용 수익률은 13.59%로 지난해보다 낮았다.


성과는 좋아졌는데 성과급이 오히려 줄어든 것은 절대적인 수익률이 아닌 벤치마크(BM·목표수익률) 대비 초과 수익률을 성과급 기준으로 삼기 때문이다. 지난해 실제 수익률은 BM 15.54%에 비해 0.23% 미달했다. 또 지난해 1년 치의 성과가 아닌 3년 치 성과를 평균으로 해서 계산하기 때문에 급락장 시 실제 성과와의 괴리가 발생하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보건복지부와 기금운용본부 등은 성과급을 현실화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해 내년 지급분부터 개편안을 적용하기로 했다. 앞으로는 상대 성과(40%)와 정성·조직 성과(30%)에 더해 절대 성과(30%)를 평가 기준에 반영한다. 또 5년 누적 평가를 반영해 특정 연도의 시장 급락으로 인한 영향을 완화하기로 했다.


또 성과급 모수 자체를 기본급 총액에서 1.5배를 곱한 기준으로 늘려 총성과급 자체도 늘린다. 성과급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급할 수 있게 되고 인재 유출도 막을 수 있게 됐다는 평가다.


이번 성과급 산정 기준 개선으로 기금운용본부 직원들의 총보수가 시장 상위 50%(중간) 수준에서 상위 25%로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캐나다연금(CPPIB)과 싱가포르국부펀드(GIC) 등도 동일한 선에서 보상 수준을 정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IB 업계의 한 관계자는 “보상 수준은 낮은데 지방에서 근무해야 하고 업무 강도가 높은 등의 문제로 인재 이탈뿐 아니라 채용 경쟁률도 약해져왔다”며 “국민들의 노후 보장을 위해 적절한 수준의 보상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