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현재 읽고 계신 기사는
유료기사 입니다.

비회원도 읽을 수 있는 무료기사로 전환된 후, 소셜미디어에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닫기

국내 최대 패션 플랫폼…日사업 확장·PB 성공에 몸값 껑충

■무신사, IPO 본격 돌입
해외시장 중심으로 가파른 성장
목표 기업가치로 '10조' 설정
시장예측치 대비 2배 이상 달해
공모자금만 2조 넘길 가능성 커
큰손 참여하지 않으면 부담될듯

  • 이덕연 기자
  • 2025-07-09 16:48:52
국내 최대 패션 플랫폼…日사업 확장·PB 성공에 몸값 껑충 [시그널]
무신사 CI. 사진 제공=무신사

무신사가 10조 원 이상의 기업가치로 증시 신규 입성을 노리는 배경은 최근 해외시장을 중심으로 한 빠른 플랫폼 확장세와 ‘무신사 스탠다드’ 등 자체 브랜드(PB)의 성공에 기반한 자신감이 반영된 것이 크다. 다만 기업가치가 10조 원을 웃돌면 기업공개(IPO) 때 모아야 하는 공모 자금만 2조 원을 넘길 가능성이 커 이를 받쳐줄 만한 국내외 증시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는 점은 과제다. 일본 시장을 거점으로 중국 등 여타 주요 시장으로 이어지고 있는 해외 사업 성장 흐름을 유지하는 것도 필요하다.


9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무신사는 최근 주요 재무적투자자(FI)와의 협의를 거쳐 10조 원 이상의 기업가치로 상장에 도전한다는 방침을 확정했다. 이는 무신사가 2023년 하반기 투자를 유치하며 인정받은 기업가치 약 3조 5000억 원의 3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최근 IB 업계에서는 무신사 상장 주관 작업을 따내기 위한 준비 작업에 들어서며 예상 밸류를 4조~5조 원으로 봤는데 이보다도 유의미하게 크다. 업계 관계자는 “10조 원은 현재 무신사 플랫폼이 가진 영향력과 최근 빠르게 성장하는 신사업의 성과를 모두 반영한 숫자”라고 설명했다.



국내 최대 패션 플랫폼…日사업 확장·PB 성공에 몸값 껑충 [시그널]

무신사가 10조 원 이상의 기업가치로 상장에 도전하면 공모 자금만 2조 원을 웃돌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4조~5조 원의 밸류로 IPO에 나선 DN솔루션즈는 약 1조 원의 공모자금을 받는 데 난항을 겪었고 기업가치 5000억 원 수준의 롯데글로벌로지스도 기관투자가 수요 부진으로 IPO 계획을 철회했다. 해외 주요 기관으로부터 자금을 받는 것이 필수적인데 장기 투자 전략을 취하는 소위 ‘큰손’들이 변동성이 큰 국내 공모주 투자를 꺼리고 있는 점이 부담이다.


무신사는 이를 감안해 국내 증시 상장과 해외 증시 상장 가능성을 모두 열어둘 계획이다. 다음 주께 배포하는 것이 유력한 상장 주관 입찰제안요청서(RFP)도 국내를 포함해 해외 주요 증권사에 모두 보낼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미국 나스닥 등 주요 시장은 기업가치를 보수적으로 산정하는 경향이 있고 상장 유지 비용도 국내와 비교했을 때 많게는 10배가량 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실제 해외 상장을 추진할지는 미지수다. 국내 상장을 노린다면 코스피 입성을 추진하는 것이 유력하다.


당초 예측치보다 높은 가치로 무신사가 상장을 추진하는 요인으로는 최근 빠르게 성장하는 실적이 있다. 무신사 매출은 △2022년 7085억 원 △2023년 9931억 원 △2024년 1조 2427억 원을 기록하는 등 가파르게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023년 86억 원 적자였지만 지난해에는 1028억 원 흑자로 돌아서는 등 내실도 다지고 있다. 올 1분기에도 2929억 원의 매출과 178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해 실적 개선세가 견조하게 이어지는 추세다.


무신사는 해외를 중심으로 빠르게 사업을 확장하는 중이다. 2022년 시장에 내놓은 해외 전용 플랫폼 ‘글로벌 스토어’ 거래 금액이 일본을 중심으로 연평균 260%씩 증가하면서 글로벌 시장으로의 본격적인 확장이 가시권에 들어왔다. 여기에 해외 현지 패션 유통 플랫폼으로 국내 브랜드를 유통하는 기업간거래(B2B) 사업도 순항 중이다. 최근에는 현지 최대 패션 기업인 안타스포츠와 손잡고 중국 시장에도 도전장을 냈다. 자체 브랜드를 키우는 PB 사업이 무신사 스탠다드를 중심으로 시장에 안착하고 오프라인 사업이 순항하고 있는 점도 눈여겨볼 만하다.


이런 성장세가 꾸준히 이어질지는 미지수라는 관측도 있다. IB 업계 관계자는 “현재 이용자 수와 사업 규모만을 봤을 때 기업가치 10조 원은 높을 수도 있는 숫자”라며 “국내외 증시 환경이 받쳐주고 가파른 성장세가 이어졌을 때 목표 기업가치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