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현재 읽고 계신 기사는
유료기사 입니다.

비회원도 읽을 수 있는 무료기사로 전환된 후, 소셜미디어에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닫기

사고 수습 비용만 수천억…SKT 통신 1위 아성 '흔들'

[SKT 사태 일파만파]
◆ 해킹發 실적전망 줄하향
유심 교체비·과징금 등 부담에
올 영업익 전망치 1.9조로 낮춰
KT는 2.4조…추월 가능성 커져

  • 김기혁 기자
  • 2025-05-07 17:48:08
사고 수습 비용만 수천억…SKT 통신 1위 아성 '흔들'
6일 서울 시내 한 SKT 매장에 유심 교체 관련 안내문이 붙어있다. 연합뉴스



사고 수습 비용만 수천억…SKT 통신 1위 아성 '흔들'

유심 해킹 사고 후폭풍으로 SK텔레콤(017670) 실적 하향이 불가피해지면서 SK텔레콤과 KT(030200)의 영업이익이 역전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유심 교체 비용은 물론 가입자 이탈을 막기 위한 마케팅 비용과 과징금 등 SK텔레콤이 치러야 할 비용이 산적해 있기 때문이다. SK텔레콤의 통신사업자 1위 아성이 흔들리고 있다.


7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SK텔레콤의 올해 영업이익 전망치는 전날 기준 1조 9820억 원으로 집계됐다. KT의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2조 4426억 원으로 SK텔레콤보다 4000억 원 많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2023년과 2024년은 SK텔레콤의 영업이익이 KT를 앞섰다. 특히 지난해의 경우 KT가 본사 직원 대상으로 희망퇴직과 자회사 전출을 단행하는 과정에서 지급된 위로금으로 인해 영업이익이 8095억 원에 그친 바 있다.


금융투자 업계에서는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치를 비용이 수천억 원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신용평가는 이달 2일 보고서를 통해 유심 교체 비용과 과징금 등을 합해 SK텔레콤의 지출 규모가 4000억 원을 웃돌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는 신한투자증권이 지난달 분석했던 재무 부담(1000억~2000억 원 수준)보다 훨씬 큰 수치다. 한국투자증권의 경우 올해 영업이익 전망치를 1조 9980억 원에서 1조 9180억 원으로 하향했다. 유영빈 한국신용평가 선임연구원은 “신규 가입자 모집이 중단된 상황에서 가입자 이탈이 지속될 경우 SK텔레콤의 시장 지위가 하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면서 “가입자 기반 약화, 점유율 유지를 위한 마케팅 비용 지출 확대는 유심 교체 비용, 과징금 부과보다 신용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당장 1분기만 해도 KT가 6990억 원의 영업이익을 거두며 SK텔레콤(5590억 원)을 앞설 것으로 전망됐다. 유심 해킹 사고와 관련한 SK텔레콤의 실적 영향은 2분기부터 반영될 예정인 만큼 양 사 간 실적 격차는 더욱 벌어질 수 있다.


다만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과징금은 천문학적인 수준에 이르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정원석 신영증권 연구원은 “과징금의 경우 2023년 9월 개인정보보호법 개정 이후로 전체 매출액의 3%까지 부과 가능하지만 위법행위와 관련 없는 매출은 제외될 수 있으며 법 위반 정도에 따른 감경이 가능하다”면서 “과거 사례와 크게 어긋나지 않는 수준에서 과징금이 부과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SK텔레콤의 지난해 매출 17조 9406억 원의 3%를 그대로 적용하는 경우 과징금 규모가 5000억 원을 웃돌지만 실제 과징금은 이보다 낮을 것이라는 얘기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