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현재 읽고 계신 기사는
유료기사 입니다.

비회원도 읽을 수 있는 무료기사로 전환된 후, 소셜미디어에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닫기

국민연금 타려면 한참 남았는데…60세부터 '도민연금' 준다는 이곳, 어디?

경남도, 60세 이후 소득 공백 채우는 '도민연금' 도입

  • 정지은 기자
  • 2025-01-31 13:08:08

국민연금, 연금

국민연금 타려면 한참 남았는데…60세부터 '도민연금' 준다는 이곳, 어디?
기사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사진. 이미지투데이

60세 퇴직부터 국민연금 수령 시기까지 소득 공백을 채워주는 광역자치단체 연금이 경남도민들 대상으로 도입된다.


경남도가 내년부터 월 9만원을 납입하면 도비로 1만원이 지원되는 식의 매칭 지원인 '도민연금'을 도입할 예정이다. 경남도민연금은 매달 일정액을 퇴직연금(IRP) 계좌에 넣으면 경남도가 자체 예산으로 지원금을 추가 적립하는 방식의 연금이다. 경남에 주거지를 둔 55세 이하가 가입할 수 있으며 최소 5년을 채우면 60세 이상부터 연금 또는 일시금으로 수령할 수 있다.


수익률은 연금 개시 연령과 적립금 운용 성과에 따라 달라진다. 월 복리 2% 정기예금형을 예시로 보면 월 9만원을 10년 동안 납입하면 월 1만원이 지원돼 세액공제 혜택까지 약 7.2% 이자율의 정기적금 가입 효과와 비슷하다. 같은 기간 원금 1080만 원을 냈다면 1506만 원을 돌려받는데 납입액 대비 수익률이 39.5%에 이를 수 있다.


구체적인 소득이나 나이 기준은 공론화를 거친 뒤 확정된다. 경남도 측은 은퇴를 앞둔 50대의 상당수가 소득공백 대비가 부실하다는 자료를 근거를 들고 있다. 법적 퇴직연령인 60세부터 국민연금 수령이 가능한 63세까지 벌이가 마땅치 않고 이마저 2033년엔 국민연금 수령이 65세로 더 늦춰진다는 근거다.


한편, 도 예산은 연간 1만명씩 10년간, 10만 명 가입을 목표로 했을 때 첫 해 12억 원으로 시작해 10년 동안 약 12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퇴직 급여법'을 근거로 경남도 조례를 만들어 전액 도비로 충당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