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현재 읽고 계신 기사는
유료기사 입니다.

비회원도 읽을 수 있는 무료기사로 전환된 후, 소셜미디어에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닫기

머리 휑한 2030女 이유 있었다…"탈모 원인 변이 발견"

서울대병원, 조기 여성형 탈모증 환자 63명 분석
PPARGC1A 유전자 변이, 모발 성장 억제에 관여

  • 이주희 인턴기자
  • 2022-03-27 07:08:26

탈모, 여성탈모, 조기 탈모, 유전자 변이, 서울대병원

머리 휑한 2030女 이유 있었다…'탈모 원인 변이 발견'
이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국내 연구진이 20~30대 여성의 탈모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특정 유전자 변이를 발견했다.


국제학술지 '피부과학저널'에 최근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서울대학교병원 피부과 권오상 교수와 서울의대 생화학교실 김종일 교수 공동연구팀은 모발 성장을 억제하는 'PPARGC1A' 유전자 변이가 탈모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했다.


연구팀은 조기 여성형탈모증 환자 63명과 대조군 341명의 두피와 모발 상태를 측정하고 유전자 변이 등을 비교 분석했다.


여성형탈모증은 성인 여성에게 나타나는 가장 흔한 탈모 유형으로 발생 연령대에 따라 조기(20~30대), 후기(40대 이후)로 구분된다. 후기 여성형탈모증은 여성호르몬 감소 등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조기 여성형탈모증은 연구가 많지 않아 추가 분석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머리 휑한 2030女 이유 있었다…'탈모 원인 변이 발견'
여성형 탈모의 진행 형태. 연합뉴스

연구팀에 따르면 조기 여성형탈모증 환자군의 두피에서는 가려움증, 통증, 각질, 유분, 모낭염 등의 특징이 흔하게 관찰됐다.


환자군은 모발이 가늘며 두께가 불규칙했다. 앞머리와 정수리, 머리 측면 부분의 모발 수가 적었다. 또 환자군은 대조군과 비교해 다낭성 난소증후군과 여성형 탈모증 가족력을 더 많이 보유하고 있었다.


연구팀은 여기서 유전적 요인에 주목해 여성형 탈모증과 관련된 단일염기다형성(SNP) 10만5294개를 확보해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조기 여성형 탈모증과 관련된 5개의 유전자를 찾아냈고 추가 실험을 거쳐 그 중 PPARGC1A 유전자가 탈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했다. 해당 유전자는 모발 성장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진 특정 단백질(PGC-1α)의 조합 등에 관여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권 교수는 "이번 연구로 유전자의 기능을 조절하면 여성형 탈모증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확인됐다"며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여성의 탈모 발생 위험을 예측하는 유전자 검사 알고리즘을 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