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현재 읽고 계신 기사는
유료기사 입니다.

비회원도 읽을 수 있는 무료기사로 전환된 후, 소셜미디어에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닫기

잡히지 않는 가계부채... 3월도 전년比 8.4%↑

전월 대비 9.1조원 증가... 여전히 높은 증가세
4월중 발표 가계부채 대책에 관심 쏠려

  • 김상훈 기자 ksh25th@sedaily.com
  • 2021-04-14 12:01:05
잡히지 않는 가계부채... 3월도 전년比 8.4%↑
<전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율 추이> 자료:금융위원회

가계부채 증가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 3월에도 주택담보대출과 전세대출 등이 크게 늘면서 전년 대비 8%대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내년 가계부채 증가세를 4% 수준으로 낮추겠다고 공언한 금융당국이 내주 어떤 내용을 담은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내놓을 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4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3월중 전 금융권의 가계대출은 전월대비 9조1,000억 원 증가했다. 전월 9조7,000억 원과 비교해 소폭 줄었지만 여전히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도 8.4%로 1월(8.5%)과 2월(8.5%)과 비슷한 수준이다.


주택담보대출이 증가세를 여전히 견인하고 있다. 전 금융권 주담대출 증가 규모는 6조5,000억 원으로 예년과 비교해 높은 수준이다. 다만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2조7,000억 원 늘어 전년(3조9,000억 원) 대비 증가폭은 크게 축소됐다. 주식투자 수요 감소 등이 원인인 것으로 풀이된다.


업권별로는 은행권이 6조5,000억 원, 제2금융권이 2조6,000억 원 증가했다.



잡히지 않는 가계부채... 3월도 전년比 8.4%↑
<업권별 가계대출 증가 현황> 자료:금융위원회

내주께 발표되는 가계부채 관리방안에 이목이 집중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8%대였던 가계부채 증가율을 내년부터 4%대로 낮추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대선을 앞두고 여당이 청년층·신혼부부 등 실수요자 중심으로 규제를 대폭 완화할 수 있는 만큼 가계부채 부실화를 우려하고 있는 목소리가 크다.


금융위 관계자는 “가계부채가 우리 경제의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연착륙을 차질없이 뒷받침헤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상훈 기자 ksh25th@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