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대부 업체의 개인 신용 대출 잔액의 약 96%가 연 20%대의 초고금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신용자들이 주요 고객인 대부 업계의 영업 구조상 20% 이하로 금리를 낮추기 어렵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다. 오는 7월부터 법정 최고 금리가 24%에서 20% 이하로 떨어질 경우 대부 업체 중 신규 신용 대출을 취급하는 곳은 극히 드물어질 것으로 보인다. 급전이 필요한 저신용자가 대부 업체에서도 돈을 빌리기 어려워지면서 불법 사채시장으로 몰리지 않도록 정부의 보완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다.
|
12일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상위 10개 대부 업체의 개인 신용 대출 잔액은 3조 4,547억 원이었고 이 중 금리가 20% 이상인 대출은 3조 3,046억 원으로 전체의 95.7%에 달했다. 이들 업체에서 대출 받은 사람은 67만 1,000명이었고 20%대 금리가 적용되는 사람은 63만 4,000명(94.5%)에 이르렀다. 주요 대부 업체의 대출금리 분포도가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대부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저신용자 대상 대출인 만큼 대손충당금을 위해 기본적으로 10%의 이자는 받아야 하고 평균 조달 금리가 5~6%, 중개 업체 수수료가 3~4%라 합하면 18~20%의 금리는 받아야 본전”이라며 “여기에 각종 운영 비용을 감안하면 20% 이상의 이자를 받아야 수지타산이 맞는다”고 설명했다.
물론 정부도 문제를 예상하고 대부 업체가 시중은행에서 저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유도하는 대책 등을 발표했다. 하지만 보수적인 은행이 대부업에 적극적으로 돈을 빌려줄 가능성은 낮아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윤 의원은 “7월 7일부터 최고 금리가 연 24%에서 20%로 한번에 17%(4%포인트)나 내려간다"며 “최저임금을 급격히 올렸을 때 취업자가 감소했는데 이번에도 저신용자가 불법 사금융으로 밀려나는 등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태규 기자 classic@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