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현재 읽고 계신 기사는
유료기사 입니다.

비회원도 읽을 수 있는 무료기사로 전환된 후, 소셜미디어에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닫기

'야놀자 토큰' 밀크 “흩어진 포인트, 암호화폐로 통합 관리한다”

안 쓰는 포인트, '밀크 토큰'으로 통합하고 거래소서 현금화
첫 번째 서비스 파트너는 야놀자…'1업종 1파트너' 계획
영화·항공·음식배달 등 추가 파트너 공개 예정
기업 별 프라이빗 블록체인 구축, 밀크 토큰 거래는 '루니버스' 활용
밀크 토큰 가격은? "사용처 많아져 수요 늘고, 장기적으로 상승할 것"

  • 박현영 기자
  • 2019-09-19 16:58:01
'야놀자 토큰' 밀크 “흩어진 포인트, 암호화폐로 통합 관리한다”
우성남 밀크 프로젝트 CBO(사업총괄)가 디센터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백화점 상품권을 선물 받았는데 막상 쓸 곳이 없거나, 상품권보다 현금이 더 필요할 때가 있다. 이럴 때 우리는 상품권을 중고거래처럼 판매한다. 10만 원 짜리 상품권을 9만 5천 원에 파는 식이다. 최근에는 종이 상품권보다 각종 서비스의 ‘포인트’가 자주 팔린다. 중고 거래 사이트에선 야놀자 포인트, CJ 포인트 등 서비스에서 실제 돈처럼 쓸 수 있는 포인트를 판매한다는 글이 올라오곤 한다.

그런데 안 쓰는 포인트를 매번 판매하는 일은 쉽지 않다. 각각의 서비스에서 쓰이는 포인트가 다를뿐더러, 그 포인트를 현금으로 사겠다는 사람을 찾는 일도 어렵기 때문이다. 여러 서비스의 포인트가 하나로 통합되고 그 통합된 포인트를 바로 현금화할 수 있다면 어떨까?

‘밀크(Milk)’ 프로젝트는 이 같은 생각에서 시작됐다. 여러 서비스의 포인트를 암호화폐 ‘밀크(MLK)’로 바꾸고 이 MLK를 거래소에서 현금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거꾸로 거래소에서 구매한 MLK로 포인트를 할인된 가격에 구매하는 것도 가능하다. 우성남 밀크 사업총괄(CBO)은 디센터와의 인터뷰에서 “포인트를 현금화하는 것은 물론, 한 서비스에서 얻은 포인트를 다른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게 가능해진다”며 “기업 입장에서도 포인트의 효과를 키울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야놀자 토큰' 밀크 “흩어진 포인트, 암호화폐로 통합 관리한다”
밀크의 토큰이코노미. 여러 서비스의 포인트를 암호화폐 ‘밀크(MLK)’로 바꾸고 이 MLK를 거래소에서 현금화할 수 있다. 거꾸로 거래소에서 구매한 MLK로 포인트를 할인된 가격에 구매하는 것도 가능하다./출처=밀크 블로그



‘야놀자 토큰’, 다음 타자는 누구?
밀크의 첫 번째 서비스 파트너는 유니콘 스타트업인 숙박 플랫폼 ‘야놀자’다. 카셰어링 업체 ‘딜카’와 공항 버스를 운영하는 ‘서울공항리무진’도 파트너로 합류했다. 현재 밀크는 영화, 항공, 음식배달 등 각 산업군에서 서비스 파트너를 늘려나가고 있다.

우 사업총괄은 “업종마다 하나의 서비스 파트너만 두려고 한다”며 파트너사의 경쟁사를 또 다른 파트너로 끌어들이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서비스 파트너가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그는 “밀크 토큰(MLK)을 통해 포인트를 현금화할 수 있게 되면, 밀크 자체가 고객에게는 서비스 선택의 동기가 될 수 있다”며 “밀크와 파트너십을 맺은 서비스 업체들은 경쟁력을 하나 더 갖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밀크가 서비스 파트너들을 확보하는 방식이기도 하다. 우 사업총괄은 “밀크(MLK)를 사용함으로써 가질 수 있는 경쟁력을 강조하면서 파트너를 확보하고 있다”며 “(파트너들이) 해당 업종에서 ‘선점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밀크는 대형 파트너사 발표를 앞두고 있다.

밀크 생태계, ‘밀크체인-루니버스-거래소’로 이어진다
그렇다면 밀크는 파트너사와 어떻게 서비스를 연동할까? 먼저 각 서비스 파트너들은 밀크체인을 기반으로 포인트를 통합하고, 고객 데이터를 관리한다. 밀크체인은 하이퍼레저의 패브릭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이다. 우 사업총괄은 “‘고객이 포인트를 얼마나 보유하고 있는지’와 같은 정보는 기업의 영업기밀일 수 있어 퍼블릭 블록체인으로 공개할 필요가 없다”며 “서비스 파트너들의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기업별로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구축한다”고 설명했다.

'야놀자 토큰' 밀크 “흩어진 포인트, 암호화폐로 통합 관리한다”
밀크의 블록체인 플랫폼 이용 방식./출처=밀크 블로그

이후 통합된 포인트를 밀크 토큰(MLK)으로 교환하고 MLK를 거래소로 옮길 땐 람다256의 BaaS(Blockchain as a Service) 플랫폼 ‘루니버스’를 활용한다. 루니버스 플랫폼에서 발생하는 MLK 거래 내역은 투명하게 공개된다.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거래소 간에 루니버스를 거치는 이유에 대해 우 사업총괄은 “MLK 발행량에 관한 정보나, 거래소로 가는 토큰 양에 대한 정보는 투명하게 공개되어야 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서비스 파트너들에게도 신뢰를 주기 위한 목적”이라고 덧붙였다.

밀크 토큰(MLK) 가격은?…“사용처 확장-수요 증가-장기적 상승 구조”
밀크는 오는 4분기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다. 출시 이후 밀크 토큰(MLK)의 가격은 어떻게 될까. 또 포인트를 MLK로 바꿀 때 가격은 어떻게 결정될까?

우 사업총괄은 “포인트와 MLK의 교환 가격은 수요, 공급을 통한 시장 논리에 의해 결정된다”며 “따라서 포인트로 MLK를 사는 사람과 MLK로 포인트를 사는 사람 간 가격 차는 존재한다”고 말했다. 해당 거래에서 발생하는 일부 수수료는 밀크 프로젝트의 수익모델이 된다.

MLK 자체의 가격에 대해선 “가격이 크게 하락하거나, 변동이 심한 일은 잘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MLK의 거래소 상장 이후 곧 밀크 서비스가 출시되고, 서비스 파트너는 계속 늘어날 것이기 때문이다. 파트너 확보는 곧 사용처 확보이고, 사용처가 많아질수록 수요는 늘어나므로 장기적으로 가격이 상승한다는 설명이다.

밀크는 MLK를 ‘진정한 유틸리티토큰’으로 만들어갈 예정이다. 우 사업총괄은 “MLK의 최대 목표는 사용처 확장과 사용자 증가”라며 “단순히 가격 상승으로 투자자에게 이익을 주는 암호화폐보다는, 진짜 활발히 쓰이고 서비스 파트너사 성장에도 도움이 되는 암호화폐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현영기자 hyun@decenter.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