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현재 읽고 계신 기사는
유료기사 입니다.

비회원도 읽을 수 있는 무료기사로 전환된 후, 소셜미디어에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닫기

김진화 테조스 한국재단 이사 "블록체인이 무엇인지 다시 생각할 시기"

"한국, 마시멜로 10분만에 먹어버린 아이와 같은 실수 저지른 것"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이 무엇이었는지 다시 고민해야"

  • 원재연 기자
  • 2019-01-26 16:03:22
김진화 테조스 한국재단 이사 '블록체인이 무엇인지 다시 생각할 시기'
김진화 한국블록체인협회 비상임 이사 / 사진 = 박현영 기자

“이 기술이 무엇을 바꿀 것이고 이 사회에,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떠올릴 시기 입니다”

26일 서울 강남 잼투고에서 열린 제 1회 ‘테조스 블록체인 토크 컨퍼런스’에서 김진화 한국블록체인협회 비상임이사는 “시장의 불필요한 관심이 떨어진 시기에 이러한 질문을 해본다” 며 “지금의 황량한 상황에서 중요한 것은 다시 기본으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김 이사 외에도 아서 브라이트먼 테조스 개발자, 전하진 한국블록체인협회 위원장, 팀 드레이퍼 드레이퍼 어소시에이츠 창업자 등이 참여해 블록체인을 통한 공공 금융 부문 혁신, 테조스 기술·생태계, 테조스 기반 프로젝트 등을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진행했다.

김 이사는 “2017년 중반부터 불었던 암호화폐 열풍에서 한국이 중심적인 역할을 했지만, 돌이켜보면 10분만에 마시멜로를 먹어버리는 아이와 같은 실수를 한 것이 아닌가”라며 “애초에 이 기술(블록체인)을 가지고 하려던 것이 무엇이었는지 다시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코빗의 공동 창립자이기도 한 김 이사는 “2013년 코빗을 창립할 당시 했던 생각은 이 기술을 가지고 사회에 도움이 되는 것을 하자는 시도였다”라며 “테조스에 합류한 이유도 테조스가 하는 일들이 코인의 가격을 높이고 기술을 파는 것이 아닌 커뮤니티를 남기고 사람을 남기는 것들이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 이사는 지난해 10월 테조스 한국 재단 이사회로 참여했다.

그는 “비트코인 이전에는 화폐에 대한 고민을 하지 않았지만, 이후에야 화폐라는 것이 긴 역사 속에서 하나의 정보를 담보하는 것이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라며 “새로운 기술을 바라볼 때 우리는 성급하게 답을 내릴 것이 아니라 제대로 질문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원재연 기자 wonjaeyeon@decenter.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