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현재 읽고 계신 기사는
유료기사 입니다.

비회원도 읽을 수 있는 무료기사로 전환된 후, 소셜미디어에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닫기

김용대 카이스트 교수, 블록체인 평가시스템 '블립' 소개

'비들 서울 2018' 연사로 참여

  • 민서연 기자
  • 2018-11-30 16:19:16
김용대 카이스트 교수, 블록체인 평가시스템 '블립' 소개

“많은 블록체인 모델이 있는데, 이들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없어요. 저희는 평가모델을 만들어 개발자, 학생, 그리고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벤처캐피털(VC)이 쓰도록 할 겁니다.”

30일 강남구 르메르디앙에서 열린 비들 서울 2018에서 김용대 카이스트 교수는 연구결과를 소개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현재 나와 있는 블록체인 대부분이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퍼블릭 블록체인인데, 정작 이용자들으 어떤 체인이 다른 체인보다 뛰어난 지 평가할 수가 없다”며 “블록체인 내의 예측 불가능성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이론적이고 실질적인 평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날 김 교수는 카이스트 연구소에서 개발하고 있는 블록체인 표준화 평가시스템 블립(BLEEP)을 소개했다. 블록체인 이론과 개발된 네트워크 사이의 갭을 줄이기 위해 개발된 블립은 개발자와 VC를 타겟으로 만들어진 평가시스템이다. 김 교수에 따르면 블립을 통해 개발자들은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개발이 가능하고 VC는 블록체인의 기술적 가치를 평가하는 데 활용해 합리적인 투자에 도움이 된다. 또 블록체인 입문자와 학생들에게는 합의 알고리즘을 체험해볼 매커니즘이 부족한 상황에서 블록체인 관련 회사를 창업하거나 참여하기 전, 블립을 통해 다른 블록체인을 평가하는 눈을 기를 수 있다.

김 교수는 완벽한 탈중앙화로 가기 위한 네 가지 조건도 제시했다. 탈중앙화를 위한 네 가지 조건은 △리소스를 조금이라도 가지고 있는 노드는 누구나 네크워크 상에서 이득을 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직접 노드를 실행하는 것이 리소스를 다른 사용자에게 위임하는 것보다 더 높은 수익성을 갖는다 △노드 한 개만 운영하는 것이 여러 노드를 운영하는 것보다 더 높은 수익성을 갖는다 △두 노드 간의 해시파워 비율이 1에 수렴한다 등이다. 그는 “이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플랫폼은 아직 못 봤다”며 “미래에는 이를 만족하는 블록체인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긍정적인 견해를 표했다 .
/민서연기자 minsy@decenter.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