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현재 읽고 계신 기사는
유료기사 입니다.

비회원도 읽을 수 있는 무료기사로 전환된 후, 소셜미디어에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닫기

[ABF in Seoul] "블록체인, 고도화된 산업보다 다수의 참여가 필요한 분야에 적합"

31일 ‘ABF in Seoul’ 메인행사 ‘fuze 2018’에서 대담 진행
최예준 보스코인 대표-김석환 예스24 대표 참여
"뉴스 콘텐츠, 블록체인의 신뢰성을 구현하기에 적합"

  • 박선우 기자
  • 2018-10-31 19:27:03
[ABF in Seoul] '블록체인, 고도화된 산업보다 다수의 참여가 필요한 분야에 적합'
김석환(가운데) 예스24 대표와 최예준(오른쪽) 보스코인 대표가 31일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린 ‘ABF in Seoul’의 메인행사인 ‘fuze 2018’에서 유비쿼터스 블록체인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

“중앙 집중 방식보다 다수가 참여해야 효율성이 높아지는 분야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최예준 보스코인 대표)

“뉴스 콘텐츠가 블록체인의 신뢰성을 구현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블록체인이 주창하는 기술의 효용성에도 맞습니다” (김석환 예스24 대표)

31일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린 ‘Asia Blockchain & Fintech(ABF) in Seoul’의 메인 컨퍼런스 ‘fuze 2018’에서 열린 대담 ‘유비쿼터스 블록체인’에서 최예준 보스코인 대표와 김석환 예스24 대표는 블록체인이 적용될 수 있는 분야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 사회는 조원희 법무법인 디라이트 변호사가 맡았다.

최 대표는 “블록체인 기술은 합의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확실한 지급결제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며 “이 때문에 속도가 느려 고도화된 산업 분야엔 적용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그는 “블록체인의 의의는 모든 사람들이 계약에 참여할 수 있다는 데 있다”며 “많은 사람들이 참여했을 때 효율적인 부분에 블록체인을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신뢰를 기반으로 하는 사업 모델에 블록체인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대표는 “블록체인은 이전에 기록한 정보를 지우면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게 아니라 스냅샷을 찍듯 순간의 정보를 쌓고 저장하는 기술의 일종”이라며 “블록체인의 무결성과 비변동성이 이를 가능하게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블록체인 기술로 정보의 신뢰성을 구현할 수 있는 분야로 뉴스 콘텐츠를 꼽았다.

대담에선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개인의 권리도 논의됐다. 최 대표는 전문성(professionalism)을 언급하며 “예를 들어 금융 정책·제도에 접근할 권리는 전문가에게만 있다”며 “블록체인 영역에서는 자기선택권을 반영하는 게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김 대표도 “블록체인 시스템 안에 얼마나 많은 전문가가 참여해야 하는지 그 비중을 고민해야 한다”며 “대의원제의 형태와 전문성을 섞을 형태의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선우기자 blacksun@decenter.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