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은 상거래 지불수단으로 쓰이기 힘듭니다. 가격 변동성이 큰 암호화폐는 사용자가 가치를 보유하려는 경향이 강해져 화폐의 유동성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장중혁 인포뱅크 아이블록(iBloc) 대표는 6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토큰 이코노미 빅뱅 2018’ 행사에서 암호화폐의 화폐적 측면에 대해 이같이 전망했다. 장 대표가 이끄는 아이블록은 인포뱅크의 블록체인 사업부로 블록체인 기반 금융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장 대표는 현대 화폐 시스템의 문제점과 화폐적 측면에서 암호화폐의 한계점을 지적했다. 그는 “현대 화폐 시스템의 특징은 본원 통화가 아닌 신용 통화라는 점”이라며 “금융 기관은 신용통화를 대량으로 생성해 영업하며 그 이익을 독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비트코인은 공개 블록체인을 이용해 중앙화된 금융기관에 의존하지 않고 신용통화의 기능성을 구현하려 했지만 신용통화가 제공하는 많은 기능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며 한계를 드러냈다”고 말했다.
그는 이더리움의 화폐 기능도 회의적으로 평가했다. 장 대표는 “현실적으로 ‘스마트 계약’에 의해 구현되는 현대 화폐의 기능은 소수”라고 지적했다. 스마트 계약으로도 채워지지 않는 기능적 영역들이 너무 많다는 것이다. 다만 “이더리움의 스마트 계약은 화폐 거래로서의 한계는 가지고 있으나 상거래에는 많은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조현정 인턴기자 chohj@sedaily.com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