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인투자자들이 상장지수펀드(ETF)에는 큰 돈을 투자하면서도 개별 종목 직접 투자에는 신중한 태도를 견지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23일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에서 투자 주체 중 한 곳인 금융투자는 코스피 상승이 본격화한 올 6월 이후 현재까지 총 9조 4707억 원을 순매수한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코스피 상승을 견인하고 있는 외국인 투자자의 같은 기간 순매수액(19조 8447억 원)의 절반(47.7%)에 육박한다. 지난달에는 3조 6960억 원을 순매수해 올 들어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이 기간 국내 기관 전체 순매수액은 1조 7860억 원에 그쳤는데, 연기금이 1조 3320억 원을 순매도하는 등 금융투자를 제외한 주체 모두가 매도 우위를 나타냈다. 증권가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차이가 발생한 주된 배경으로 ETF 등을 통한 개인 자금 유입 증가를 꼽고 있다.
이경수 하나증권 연구원은 "최근 개인들은 지수나 테마를 추종하는 ETF 위주의 투자가 일반적인 만큼 금융투자 수급 역시 개인 수급이 포함된 셈"이라면서 "대부분의 금융투자 수급은 개인들의 ETF 매수 영향으로 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금융투자의 코스피 상승 기여도는 꾸준히 우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는 모습"이라면서 정부의 부동산 규제 정책 등의 영향으로 "국내 주식으로의 머니 무브(자금 이동)가 더욱 폭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투자자예탁금은 21일 기준 80조 3298억 원으로 지난달 말 대비 5.08% 증가해 역대 최고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주식형 펀드 설정액도 같은 기간 169조 6543억 원에서 182조 2398억 원으로 7.4% 급증했다.
다만 유가증권시장에서 개별 종목을 발굴해 직접 매매하는 개인투자자들은 순매도를 이어가고 있다. 개인은 6월 이후 현재까지 유가증권시장에서 25조 7997억 원을 순매도하며 차익 실현에 나서는 상황이다. 올해 9월에만 10조 4858억 원 매도 우위를 기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