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현재 읽고 계신 기사는
유료기사 입니다.

비회원도 읽을 수 있는 무료기사로 전환된 후, 소셜미디어에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닫기

'트럼프 정부에서도 재생에너지 투자 매력적'…KIC-맥쿼리 투자 논의

트럼프 정부 정책 불구 수요 높아
인플레이션 해지 효과도

  • 임세원 기자
  • 2025-05-20 12:52:51
'트럼프 정부에서도 재생에너지 투자 매력적'…KIC-맥쿼리 투자 논의 [시그널]
벤웨이 맥쿼리자산운용 글로벌 대표. 권욱 기자


트럼프 정부가 재생에너지 지원 정책을 약화시키고 있지만, 여전히 수요가 높아 투자 대상으로 주목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국부펀드 한국투자공사(KIC)는 20일 서울 본사에서 국내 기관 투자자의 해외 담당자들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 미국 관세 정책의 영향을 진단하고 글로벌 인프라 투자 전략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KIC가 연 제50차 공공기관 해외투자협의회에서는 글로벌 자산운용사 맥쿼리자산운용의 부문별 대표가 발표에 나섰다.


벤 웨이 그룹 대표는 “주요국 중심으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인프라 자산은 인플레이션을 헤지하고 현금 흐름을 안정적으로 창출할 수 있다”며 “변동성이 확대되는 현재 투자환경에서 매력적인 방어 자산”이라고 강조했다.


에드 노덤 핵심 재생에너지 대표는 “트럼프 정부의 정책 변화에도 불구하고, 재생에너지 가격 경쟁력과 전력 수요 증가 추세는 지속될 것”이라며 “이러한 전망을 바탕으로 볼 때 미국 내 재생에너지와 에너지 전환 투자 시장은 매력적”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미국의 관세 정책이 자국 경제 성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진단이 나왔다.


리 해리슨 실물자산 대표는 “트럼프 행정부 정책으로 미국 가중평균 실질 관세율이 올해 최대 20%까지 급등할 수 있다”면서 “높은 관세율이 현실화하면 글로벌 주요국은 물론이고 미국도 성장 둔화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1969년 호주에서 설립된 맥쿼리 그룹은 지난해 9월 기준 전 세계에서 약 9,427억 호주 달러(848조 원) 규모의 인프라, 부동산, 사모주식 등을 운용하고 있다. 자회사 맥쿼리자산운용은 2001년 한국에 진출했으며, 현재 한국 내 운용 규모는 약 185억 호주 달러(16조 원)에 달한다.


이날 행사를 주관한 박일영 KIC 사장은 “불확실성이 높아진 현재 투자환경에서 국내 기관투자자들이 글로벌 인프라 투자 시장에서 우수한 투자 기회를 확보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해외투자협의회는 국내 공공부문 투자기관이 해외 투자 과정에서 상호 협력하는 자리로서 2014년 KIC 주도로 설립됐다.


분기마다 협의회가 개최되며 현재 총 26개 국내 기관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