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현재 읽고 계신 기사는
유료기사 입니다.

비회원도 읽을 수 있는 무료기사로 전환된 후, 소셜미디어에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닫기

리플(XRP) 공동창업자 "지분증명(PoS)방식, 블록체인 사용자에게 좋을 것 없다"

리플·지비시코리아·옥스포드 메트리카 주최
'한국의 블록체인 및 디지털 자산의 미래' 컨퍼런스
데이비드 슈와츠 리플 CTO 겸 공동창업자 비대면 연설

  • 김정우 기자
  • 2022-04-27 14:28:38
리플(XRP) 공동창업자 '지분증명(PoS)방식, 블록체인 사용자에게 좋을 것 없다'
데이비드 슈와츠 리플 CTO 겸 공동창업자가 컨퍼런스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디센터

데이비드 슈와츠((David Schwartz) 리플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공동창립자가 지분증명(PoS) 방식 합의 알고리즘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밝혔다.


슈와츠 리플 CTO 겸 공동창업자는 27일 오전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한국의 블록체인 및 디지털 자산의 미래' 컨퍼런스에서 “모든 합의 알고리즘은 완벽하지 않은데, PoS의 경우엔 아직 개발 단계"라면서 "암호화폐를 스테이킹 하는 사람들은 보상으로 받는 네트워크 거래 수수료가 높을수록 좋아하기 때문에 블록체인 위에서 거래를 하는 사용자에겐 Pos가 최고의 합의 알고리즘이 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작업증명(PoW) 방식에 대해서도 환경 오염 문제를 지적했다. 그는 “비트코인 채굴에 1,200만 개의 미국 가정이 쓰는 전기가 사용된다”며 “이로 인해 전기가 싼 지역 중심으로 가게 되고 중국이 PoW 채굴 중심지가 될 수 있었던 이유가 됐다”고 말했다.


잭 맥도널드(Jack McDonald) 폴리사인 CEO도 연단에 올라 디파이(DeFI)의 미래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그는 “디파이는 2년 전엔 아무도 얘기하지 않았지만 이제 모두가 얘기하고 있다"며 “디파이 시장 규모는 지난해 대비 약 100% 정도로 빠르게 성장했다”고 말했다. 이어 “디파이는 유동성 풀 참여자에게 주는 보상 등 전통 금융에서는 받을 수 없던 수익이 발생하고 중앙화된 기존 금융기관을 흔들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며 “다만 관할기관의 규제 가이던스가 없는 것이 가장 큰 리스크”라며 디파이 관련 명확한 규제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컨퍼런스는 리플과 국내 블록체인 M&A 플랫폼 운영사 지비시코리아(GBC Korea), 영국 투자 자문사 옥스포드 메트리카(Oxford Metrica)가 공동 주최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