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현재 읽고 계신 기사는
유료기사 입니다.

비회원도 읽을 수 있는 무료기사로 전환된 후, 소셜미디어에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닫기

SKT 이니셜, 건축물에 DID 부여한다…데이터 무결성 제고

시티랩스 등과 컨소시엄 구축
KISA 블록체인 시범 선도사업 선정

  • 노윤주 기자 daisyroh@
  • 2021-06-07 13:11:16

SKT, 이니셜, DID

SKT 이니셜, 건축물에 DID 부여한다…데이터 무결성 제고
이니셜이 구축하는 사물 DID 운영 방식/ 출처=SKT

SK텔레콤 이니셜이 블록체인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결합한 분산 신원인증(DID) 서비스를 내놓는다. 건축물에 고유의 DID를 부여해 위변조 없는 데이터를 수집하겠다는 목표다.


7일 SKT은 이니셜 서비스를 IoT 기술에 적용해 건축물의 고유식별자를 확인하고, 위험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수행하는 사물 DID 서비스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니셜은 SKT의 신원인증 서비스로 블록체인을 활용해 단말기에 각종 증명서를 발급, 저장, 제출하게 돕는다.


SKT는 시티랩스, 씽크제너레이터, 지노시스, 방재시험연구원과 컨소시엄을 구축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진행하는 '2021년 블록체인 시범 선도사업'에 선정됐다. 컨소시엄은 서울 중랑구청과 함께 국내 최초로 위험구조물 안전진단 시범 사업을 수행한다. SKT는 건축물의 DID 구현과 IoT 기술을 기반으로 한 노후 건축물의 기울기 및 크랙 모니터링을 담당한다.


오세현 SKT 인증CO장은 "노후건축물 안전진단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은 안전에 기여하는 ESG 경영 사례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이니셜의 DID 기술을 다양한 산업군과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노윤주 기자 daisyroh@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