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현재 읽고 계신 기사는
유료기사 입니다.

비회원도 읽을 수 있는 무료기사로 전환된 후, 소셜미디어에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닫기

미 법무부, 실크로드 관련 10억달러 상당 비트코인 압수 … 향후 국고 귀속 후 경매 예상

  • 블록미디어 장도선 뉴욕 특파원
  • 2020-11-06 08:17:55

미국, 법무부, 실크로드, 비트코인

미 법무부, 실크로드 관련 10억달러 상당 비트코인 압수 … 향후 국고 귀속 후 경매 예상

미국 정부가 온라인 불법 장터 실크로드와 연관된 10억달러 상당의 비트코인을 압수해 국고에 귀속시키는 작업에 착수했다.


블룸버그와 CNBC 등 언론들은 5일(현지시간) 미국 법무부가 실크로드의 불법 수익금인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의 이동을 추적해 지난 3일 압수하는 데 성공했다고 보도했다. 법무부가 이번에 압수한 암호화폐는 6만9370개의 비트코인을 비롯해 비트코인캐시, 비트코인 골드(BTC) 비트코인SV며 현재 시세로 10억달러가 넘는다. 법무부의 암호화폐 압수 사례 중 단연 최대 규모다.


이 같은 사실은 법무부가 5일 캘리포니아 북부 법원에 압수 암호화폐를 국고로 귀속시키기 위한 몰수 신청을 제기하면서 공개됐다.


기사에 따르면 정부 수사관들은 이름이 공개되지 않은 한 해커가 실크로드로부터 해킹한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의 트랜잭션을 추적해 이를 확보했다. 해커는 훔친 암호화폐를 정부에 넘기는 데 동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커가 관리하던 비트코인 주소는 전세계에서 4번째 부자 암호화폐 지갑이다.


언론들은 지난 3일 실크로드와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10억달러 상당의 비트코인 이동이 일립틱(Elliptic)에 의해 포착됐는데 이는 해커로부터 미국 정부로 해당 암호화폐의 통제권이 넘어가는 과정이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실크로드는 로스 울브리히트가 만든 다크웹 장터로 일반적 상품 이외에 마약 등의 불법 거래 공간으로 활용됐다. 실크로드는 2013년 당국에 의해 폐쇄됐으며 울브리히트는 종신형을 선고 받고 현재 복역 중이다.


법원이 압수된 암호화폐의 국고 귀속을 승인하면 해당 암호화폐들은 궁극적으로 경매에 부쳐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 정부는 과거에도 수 차례 압수한 암호화폐를 경매 처분했다. 지난 몇 년간 지갑에서 잠자고 있던 6만9370개의 비트코인이 일시에 시장에 공급될 경우 가격에도 일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블록미디어와 계약을 맺고 게재한 기사입니다.(원문 기사 보기☜)



/블록미디어 장도선 뉴욕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