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현재 읽고 계신 기사는
유료기사 입니다.

비회원도 읽을 수 있는 무료기사로 전환된 후, 소셜미디어에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닫기

리준 온톨로지 대표, "블록체인, AI·빅데이터와는 차원 다르다"

2018 블록페스
"AI나 IoT는 기술일뿐, 블록체인은 인프라이자 네트워크"
"블록체인, 공인 검증기관 대신 개인의 데이터 직접 관리 및 검증 가능하게 만들 것"
온톨로지, 멀티 블록체인과 실제 생태계 연결되는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 준비 중

  • 민서연 기자
  • 2018-08-23 14:49:09
리준 온톨로지 대표, '블록체인, AI·빅데이터와는 차원 다르다'
/사진=민서연 인턴기자

“블록체인이 인터넷과 같은 주류 인프라가 될 수 있을까요? 분명합니다. 빅데이터나 AI, IoT는 기술일 뿐이지만 블록체인은 각 개인이 데이터를 직접 평가하고 검증하는 신뢰 네트워크를 구축합니다. 이를 통해서 블록체인은 실물경제 속에 자리 잡을 겁니다.”

23일 서울 강남구 세텍(SETEC)에서 열린 ‘2018 블록페스타’ 두번째날, 첫 번째 세션 첫 순서를 맡은 리 준 온톨로지(Ontology) 대표는 ‘블록체인이 어떻게 주류 인프라가 될 수 있는가’에 대한 발표를 진행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인류 사회의 신뢰 매커니즘의 역사를 설명하며 “현대의 블록체인은 공인 금융시스템, 은행 등을 대신해 개인의 데이터를 개인들이 직접 관리하고 검증하는 시스템을 가능하게 만들 것”이라며 “구글페이지 등 이미 몇몇 해외 시스템에는 구현된 매커니즘이고 앞으로더 확장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블록체인의 특성을 활성화하기 위해 그는 온톨로지에서 준비하고 있는 두 가지 솔루션에 대한 설명도 덧붙였다. 첫 번째는 인프라 블록체인으로서 타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되어 협력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두 번째는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로 탈중앙화한 형태로 정보를 교환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그는 강조했다.

리 대표는 “블록체인이 지금까지 공인된 검증기관들이 개인의 신원확인을 위해 들이던 비용과 시간, 노력을 모두 줄여줄 것”이라며 “중앙화된 환경에서 생성된 콘텐츠도 블록체인에 통합되면서 모든 데이터가 개인에 의해 컨트롤되고 신뢰받는 환경이 마련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민서연 인턴기자 minsy@decenter.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닫기

이메일 보내기

보내는 사람

수신 메일 주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로 구분하세요

메일 제목

전송 취소

메일이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습니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닫기